선릉역 1번 출구
Operating system(2)-1 본문
Topic
computer structure and performance upgrade
컴퓨터의 기본 구성
필수 장치: CPU, main memory(=제1저장장치, 전력이 끊기면 데이터를 잃어버림 -> 제2저장장치에 데이터를 보관해야함)
주변 장치: 입/출력 장치, 저장장치(HDD, SSD)
제2저장장치
자성을 이용하는 장치: 카세트테이프,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레이저를 이용하는 장치: CD, bluray
메모리를 이용하는 장치: SD card, SSD(solid state disk)
메인보드
cpu와 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부품을 연결하는 판
Von neumann architecture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저장장치가 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하드와이어링 형태에서(하드웨어를 바꾸는)
하드웨어는 그대로 두고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만 교체해 메모리에 올리는 방식
->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이 가능함
이 말은 즉 메모리는 일종의 보관 창고 같은 것이므로 메모리의 용량이 커야 CPU에서 일처리를 할 수 있음
메모리가 크면 좋음 그러나 cpu의 처리 속도가 있기 때문에 메모리가 일정 사이즈 이상이면 속도 차이는 거의 없음
*OS도 software이기 때문에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이 가능함
하드웨어 사양 관련 용어
clock: Units related to the speed of cpu
클록이 일정 간격으로 tick을 만들면, 거기에 맞춰 cpu안의 모든 구성 부품이 작업을 함. tick은 pulse or clock tick이라고도 부름. 버스에는 여러 개의 부품이 연결되어 잇는데, 메인보드의 클록이 틱을 보낼 때마다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음
헤르츠(Hz): 클록틱이 발생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1초에 클록틱이 몇 번 발생하는지를 나타냄
1kHz(1000Hz), 3.4GHz(3.4x10^9Hz) -> 1초에 34억 번의 연산이 가능하다는 의미
이 속도를 무작정 높이면 더 빨라지지 않을까? = 발열이 발생해 성능이 내려감. 자세한 것은 Throttling에 대해서 찾아보길 바람
system bus: FSB(메모리와 주변장치 연결), BSB(cpu내부 장치 연결)
'Computer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OS structure (0) | 2022.10.04 |
---|---|
메모리 관리_가상 메모리의 기초 (0) | 2022.01.08 |
메모리 관리_물리 메모리 관리 (0) | 2022.01.08 |
Operating system(2)-2 (0) | 2021.12.18 |
Operating system(1)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