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Header structure 본문
1. IP header
Version: IPv4 or IPv6
Header Length: Word 단위. 최소 5임 5 * 32 = 160bit = 20byte
TOS: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나타냄
Total Length: 전체 IP패킷의 길이를 byte 단위로 나타냄
Identification: 분열이 발생한 경우 패킷을 다시 결합하기 위해 사용(유일성)
IP Flags: 분열의 특성을 나타내는 플래그
Fragment Offset: 단편화되기 전 데이터 시작점으로부터의 차이
-> 값을 8로 나눔. 800이라면 100
TimeToLive: 패킷 수명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단계의 수
Protocol: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어떤 프로토콜인지 나타냄
Header Checksum: 헤더에 대한 오류검출
src address: 송신지 IP주소
dst address: 수신지 IP주소
2. ICMP header
Type: ICMP 메세지 종류
Code: Type에 대한 상세한 설명
Checksum: 패킷의 이상유무 확인
3. TCP header
Source Port: 송신지 포트 번호
Destination Port: 수신지 포트 번호
Sequence number: SYN에 사용되는 번호. Random value이고 이를 통해 신뢰성 및 흐름제어 기능 제공
Acknowledgement number: 데이터를 받은 수신자가 예상하는 다음 시퀀스 번호를 의미함
Offset: 헤더가 아닌 데이터가 시작되는 위치가 어디부터인지 표시
Reserved: (reserved+NS) 미래를 위해 예약된 필드
Flags: 현재 segment의 속성을 나타냄 총 8개가 있음
Window: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흐름제어)
Checksum: 헤더 오류 점검
Urgent Pointer: 긴급 포인터로, URG 플래그가 1이라면 수신 측은 이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데이터를 우선 처리함
Options: TCP 기능 확장시 사용(Option을 사용하면 TCP Header의 최대 길이는 60byte가 됨. Option이 없으면 최소 20byte)
4. UDP header
Source Port와 Destination Port는 동일
Length: 헤더와 데이터를 합친 길이
Checksum: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해 체크함
실제 internet packet을 수집해 분석해보기
wireshark나 microsoft network monitor를 사용하면 된다.
tool을 사용하면 패킷 분석을 다 해준다.
전송계층이 TCP라서 Protocol의 값이 6이다.
'Computer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che: no-cache, no-store, must-revalidate (1) | 2023.11.17 |
---|---|
XML and JSON (0) | 2022.08.13 |
HTML table (0) | 2022.07.17 |
HTML 문서와 웹사이트 구조 (0) | 2022.07.16 |
HTML 소개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