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VNC 서버 연동하기 본문

Computer/Linux

VNC 서버 연동하기

choideu 2022. 8. 23. 10:41

VNC란?(virtual network computing)

- 리눅스 서버의 데스크톱 환경을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로 사용됨

RDP(윈도우 서버의 원격 데스크톱을 위한 접속 프로토콜을 의미)

https://wiseworld.tistory.com/80

 

1. vnc viewer -> 설치(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wer/)

2. novnc -> 설치 방법(http://egloos.zum.com/mcchae/v/11389162) 블로그 글 참고, (https://brtech.tistory.com/47 같이 참고)

- ubuntu-desktop: ubuntu 데스크톱 환경 구축 프로그램

- VNC4server: vnc server 실행 프로그램

- gnome-panel: ubuntu 데스크톱 환경 내 상/하단 작업 표시줄

- gnome-settings-daemon: 데스크톱 환경의 다양한 세팅 환경 제공

- xfce4: 경량화 데스크톱 환경, ubuntu desktop과 같이 호환되어 사용

- meetacity: gnome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본 창 환경

- nautilus: ubuntu의 기본 file manager

*xstartup은 vnc 서버 실행 시 나타나는 데스크톱 환경의 기본 설정을 나타내는 파일임

 

1. vmware setting하기 

원하는 port 열어주기

 

2. vncserver 돌릴 때 vncserver -localhost no라고 해주어야 함

- 5091 port: 외부에서 접근 가능(vncserver -localhost no)

- 5092 port: local에서만 접근 가능(vncserver)

 

3. vnc viewer에서 접속하기 

- DISPLAY와 PORT 번호 확인

 

4. vnc viewer 연결

해당 부분에 접속하려는 주소를 작성하면 됨

1. ip:세션번호

2. ip::포트주소

 

경고창 무시 후 continue 버튼 클릭

 

vncserver password 입력하기 -> 비밀번호 까먹었다면 vncpasswd로 바꾸면 됨

 

접속 완료

 

5. noVNC 연결

블로그 글을 보고 따라했다면 https 설정을 위해 self.pem을 만들었을텐데 나는 http연결을 하고 싶어 self.pem은 만들지 않았음

cd /usr/share/novnc; ./utils/launch.sh --vnc localhost:5901

localhost:5091 -> 아까 vncserver의 port가 5091임

*noVNC 연결 포트는 6080으로 설정됨

self.pem이 없다고 나오고 websocket server는 6080, no SSL/TLS ~,,내가 설정한대로 잘 나옴

proxying from : 6080 to localhost : 5901

 

인터넷 접속

주소:6080/vnc.html 접속

vncserver 비밀번호 입력

접속 완료

 

 

참고 사이트

더보기

 

VNC, WebSocket protocol pcap

더보기

'Comput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tool 설치와 drag and drop 설정  (0) 2022.08.29
Metasploit update and 기본 사용법  (0) 2022.08.24
ubuntu - django postgresSQL 연동하기  (0) 2022.08.09
ubuntu - django 실행하기  (0) 2022.08.05
ubuntu - django 설치하기  (0) 2022.08.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