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방화벽 고가용성 본문
네트워크 장비는 언제든지 죽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디자인
:방화벽처럼 민감한 장비는 일반 스위치나 라우터에 비해 CPU 사용률이 100%에 치닫는 일이 매우 흔함
해결책
1. HA를 사용
한 대의 방화벽이 죽었을 때 다른 한 대의 방화벽이 활성화되면서 백업함
모드 | 설명 |
AS(active-standby) | 한 대를 메인으로, 한 대는 레디 상태로 두는 것 |
AA(active-active) | 두 대 모두 메인으로 사용하는 것 |
failover: 자동으로 백업 방화벽이 전환되는 과정
AS 모드의 경우 failover로 한 대가 사망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몇 초에서 몇 십초에 이르는 네트워크 순단 현상이 발생함
2. 바이패스 스위치
장비가 죽었을 때를 대비해서 우회 경로를 만들어주는 장비
3. Full Mesh
안정성은 보강되지만 실제 장애가 발생했을 때 정확히 어느 구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찾기가 어려움
그러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full mesh를 기본 디자인을 삼고 있음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DS (0) | 2022.12.08 |
---|---|
IPS, 방화벽의 위치 (0) | 2022.12.08 |
계층별 장비 보안 관점 및 내부/외부망 연결 (0) | 2022.12.08 |
[Packet Tracer] 같은 네트워크 통신 (2) | 2022.11.28 |
충돌 도메인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0) | 2022.11.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