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Directory structure 본문

Computer/Linux

Directory structure

choideu 2021. 10. 22. 14:37

처음 리눅스 터미널에 접속하면 로그인한 계정으로 접속된다.

나의 경우는 root로 접속했기 때문에, pwd(현재 디렉토리 경로)명령어의 결과가 /root로 나왔다.

지금은 root directory에 있으므로 디렉토리 구조 확인을 위해 cd ..을 입력해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해준다.

여기서 /이란 모든 파일 시스템 계층의 기본인 루트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위에서의 root와는 다른 것이다.

/은 최상위 디렉토리라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디렉토리는 루트 디렉토리 /의 하위 디렉토리이다.

루트 디렉토리 아래는 어떤 하위 디렉토리가 있는지 확인해보자.

1. /bin

man hier를 통해 출력된 창 중 /bin에 대한 설명

모든 사용자를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사용 가능해야 하는 명령어 바이너리이다.

linux와 Unix 계열의 OS에는 굉장히 다양한 /bin directory가 존재한다.

https://wookiist.dev/10 사이트를 참고하자.

 

2. /boot

부트 로더 파일

 

3. /dev

 

4. /etc

특정 호스트 시스템의 전반적인 설정 파일

 

5. /home

저장된 파일, 개인 설정, 기타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6. /lib

/bin/과 /sbin/에 있는 바이너리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7. /media

CD-ROM과 같은 이동식 미디어의 마운트 지점

 

8. /mnt

임시로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

 

9. /opt

선택 가능한 응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10. /proc

커널과 프로세스 상태를 문서화한 가상 파일 시스템 

 

11. /root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12. /sbin

필수 시스템 바이너리

 

13. /tmp

임시 파일

 

14. /usr

읽기 전용 사용자 데이터가 있는 보조 계층 구조.

 

15. /var

변하기 쉬운 파일로 일반적인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내용이 자주 바뀔듯한 파일

'Comput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 django 설치하기  (0) 2022.08.05
[remind] Kali pwd/mkdir/touch  (0) 2022.06.05
[remind] Kali root  (0) 2022.06.04
[remind] Kali tutorial  (0) 2022.06.04
Linux account and SetUID  (0) 2021.10.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