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컴퓨터 사이 통신 본문
1. 같은 네트워크 간 통신
맥 주소 테이블은 스위치나 브리지에 연결된 사용자들의 맥 주소를 저장을 한 것
- A 컴퓨터는 자신의 ip address와 MAC address를 가지고 스위치 장비에게 B 컴퓨터의 IP를 알려주고 찾아달라고 요청함- 스위치는 해당 IP를 가진 컴퓨터가 자신의 맥 주소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 최초 접속일 경우 스위치 테이블에는 저장된 MAC 주소가 없을 것임(이 경우에 스위치는 자신에게 요청한 컴퓨터의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에게 B의 IP 주소를 첨부하여 해당 IP 주소인 컴퓨터의 MAC 주소를 요청함_브로드캐스드)*스위치와 더미 허브의 차이점이 바로 이 스위치 기능임
2.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
- A 컴퓨터는 자신의 ip address와 MAC address를 가지고 스위치 장비에게 B 컴퓨터의 IP를 알려주고 찾아달라고 요청함
- 스위치는 해당 IP가 자신이 담당하는 네트워크 대역이 아님을 확인하고 외부로 나가기 위해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Gateway 장비에게 B 컴퓨터의 IP를 알려주고 외부 네트워크에서 해당 IP를 찾으려고 함
- 스위치로부터 요청을 받은 라우터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IP를 가진 라우터를 찾아 요청함
*라우터끼리는 서로의 정보를 수시로 공유하는데 routing protocol에 따라 방법이 조금씩 다름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들끼리는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지 않고 통신 가능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들끼리는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
**Destination의 IP 주소는 절대 변하지 않음, MAC 주소만이 변함
+브릿지 테이블 = MAC 주소 테이블: 스위치나 브릿지에 연결된 사용자들의 맥 주소를 저장한 것
https://rimkongs.tistory.com/278
https://leejoongwon.tistory.com/9
강추!!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Jamming (0) | 2022.11.19 |
---|---|
DNS query 순서 (0) | 2022.11.04 |
ARP spoofing 실습 (0) | 2022.10.25 |
ARP protocol (0) | 2022.10.25 |
DMZ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