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Switch Jamming 본문
Switch Jamming
스위치의 MAC Address Table의 버퍼를 오버플로우 시켜 스위치가 허브처럼 브로드캐스팅하게 하는 기법
-> 스위치 장비는 MAC 주소 테이블이 가득 차면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브로드 캐스트하는 특성이 있음
Fail Open 정책을 따르는 장비임
*Fail Open: 장애가 발생할 시 특정 요소를 허용하는 정책
Fail Close: 장애가 발생할 시 특정 요소를 차단하는 정책
브로드캐스팅되므로 공격자가 해당 패킷을 스니핑할 수 있는 환경이 됨
스위치의 특성
MAC 주소를 통해 해당 패킷이 어떤 목적지로 보내질지를 결정
해당 MAC 주소를 학습하는 방법
1. 해당 MAC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
-> 존재한다면 테이블에 등록된 포트로 패킷 전송
-> 존재하지 않는다면 패킷이 유입된 VLAN과 동일한 모든 VLAN으로 패킷을 보냄
2. 패킷이 유입되었을 때 해당 패킷의 출발지 MAC 주소를 참고하여 어떤 포트에 MAC 주소가 있는지 학습함
Transparent Bridging
- Learning: 이더넷 프레임이 수신되면 source MAC 주소를 읽어 수신 포트(스위치와 연결된 포트)와 함께 MAC table에 기록함
- Flooding: Destination MAC address가 MAC table에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브로드캐스팅 주소(FF.FF.FF.FF.FF.FF)라면 같은 VLAN 내의 모든 포트로 플러딩함
- Filtering: Destination MAC 주소가 MAC table에 등록되어 있고, 출발 MAC 주소와 도착 MAC 주소가 동일한 Port에 소속되어 있으면 프레임 차단함
- Forwarding: 수신 프레임과 송신 프레임의 MAC 주소가 스위치의 MAC 주소 테이블에 존재할 때 바로 Unicast 통신을 지원함
- Aging: MAC 주소 테이블에 등록한 MAC 주소가 특정 시간 동안 수,발신이 없으면 해당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에서 지움
***스위치에서의 포트랑 TCP/IP 4계층에서 부르는 포트는 엄연히 다른 것임!!! 혼동하지 말 것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정리(계층별 장비) (0) | 2022.11.20 |
---|---|
네트워크 정리(OSI 7계층) (0) | 2022.11.20 |
DNS query 순서 (0) | 2022.11.04 |
컴퓨터 사이 통신 (0) | 2022.10.27 |
ARP spoofing 실습 (0) | 2022.10.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