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1번 출구
네트워크 정리(계층별 장비) 본문
7 | Application | L7 스위치 |
6 | Presentation | |
5 | Session | |
4 | Transport | L4 스위치 |
3 | Network | 라우터 |
2 | Datalink | 브리지, 스위치 |
1 | Physical | 케이블, 허브, 리피터 |
Switch
스위치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을 계산하여, 해당포트르 1:1로 연결한다. - Switching
(L2, L3, L4, L7로 어떤 Layer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결정됨)
- L2 Switch: 2 Layer 프로토콜인 이더넷 등에서 MAC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
- L3 Switch: 3 Layer 프로토콜인 IP 등에서 IP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고 라우팅 기능을 포함함
- L4 Switch: 4 Layer 프로토콜인 TCP, UDP 등을 Port를 가지고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 이때 Load Balancing이 가능함
-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온라인 서비스들은 최소 2개 이상의 같은 서버들로 분산처리 되게끔 구성되어 있음(서비스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로 Load Balancing임)
- L7 Switch: 헤더의 정보만 확인하는 다른 Layer들과는 다르게 Payload까지 확인해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Filtering이 가능함), 보안 스위치라고 불림
Router
경로 설정: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경로를 검사하고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최적인지를 결정함
스위칭: 경로 설정이 결정될 경우 데이터 패킷 스위칭 작업을 함
데이터 패킷이 도착하면 라우터는 먼저 라우팅 테이블에서 그 주소를 찾습니다. 이는 목적지까지 가는 데 가장 적합한 버스 노선을 찾기 위해 버스 시간표를 참조하는 승객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라우터는 패킷을 네트워크의 다음 지점으로 전달하거나 이동합니다.
IP Routing
라우터는 다른 라우터를 통해 알게 된 라우팅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 보관함
목적지 Network가 직접 연결된 경우: Forwarding할 interface를 스스로 알게 됨
목적지 Network가 직접 연결되지 않은 경우: Forwarding할 최적 경로를 학습해야 함
-> Static Routing or Dynamic Routing
Bridge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주는 장치
Repeater
감쇠된 전송 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재생 중계 장치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cket Tracer] 같은 네트워크 통신 (2) | 2022.11.28 |
---|---|
충돌 도메인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0) | 2022.11.20 |
네트워크 정리(OSI 7계층) (0) | 2022.11.20 |
Switch Jamming (0) | 2022.11.19 |
DNS query 순서 (0) | 2022.11.0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