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542)
선릉역 1번 출구
이번 수업으로 듣는 디지털 트윈에 대해서 짧게 알아보고자 글을 작성한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란? 이름에서도 유추가 가능한데 디지털적으로 현실과 동일한 Twin을 만드는 것이다. 정확하게 다시 말하면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것이다. ex) 현실과 가상에서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함(좁은 의미의 디지털 트윈 개념) 메타버스는 한 층 더 위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음. 그러나 같은 가상현실안에 묶임 디지털 트윈은 미래에 대한 예측과 현재에 대한 효율 증가, 재난예방이 가능함 디지털 트윈의 첫 시작: NASA '미러링 기술' (현실세계와 일치해야함) 디지털 트윈의 5단계 1. 묘사형 트윈 2. 정보형 트..

수학 공부를 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수학은 항상 영어로 되어있어서 이해하기 더 힘든 것 같다.. 그래서 이번에 힘들게 공부한 sumcheck protocol을 한국어 설명으로 남겨보려고 한다 먼저 sumcheck protocol을 이해하기 위해선 Schwartz-Zippel의 lemma를 알아야 한다. Lemma. P ∈ F는 총 차수가 d이고 0이 아닌 다항식이라고 하자. 그럼 P가 0이 되는 해는 d개 이하임 https://en.wikipedia.org/wiki/Schwartz%E2%80%93Zippel_lemma Schwartz–Zippel lemma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
가상 메모리의 기초 가상 메모리의 개요 1) 가상 메모리 시스템 가상 메모리란 크기가 다른 물리 메모리에서 일관되게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는 기술임 =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상관없이 프로세스에 커다란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 현대 메모리 관리의 가장 큰 특징은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프로세스가 올라갈 메모리의 위치를 신경 쓰지 않고 프로그래밍하도록 지원한다는 것임 논리 주소는 주소 공간에 비례하고, 가상 주소는 물리 메모리 공간이 아닌 가상의 주소 공간을 가짐 이론적으로 가상 메모리의 크기는 무한대이지만, 실제로 최대 크기는 컴퓨터 시스템이 가진 물리 메모리의 최대 크기로 한정됨 -> 가상 메모리가 가지는 최대 크기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가상 메모리는 물리 메모리의 내용 중 일부를 하드디스크의 일부 공..
물리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의 개요 *폰 노이만 구조의 컴퓨터에서는 메모리는 유일한 작업 공간이며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이 가능 메모리에는 사용자 프로세스와 운영체제 프로세스도 공존함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때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나? 메모리 관리 시스템(Memory management system)이 담당 1)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 프로세스 입장에서는 메모리를 독차지하려하고, 메모리 관리자 입자에서는 되도록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싶어하는 것 = 프로세스 입장에서의 편리함과 관리자 입장에서의 편리함이 충돌하는 것 2) Compiler vs interpreter compiler: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한 후 한꺼번에 실행. C언어, Java 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