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Cloud Computing (26)
선릉역 1번 출구

1. 자주 사용하는 항목 즐겨찾기 등록 2. 각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기 Lambda AWS의 대표적인 서버리스 서비스로, 서버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서비스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줌 DynamoDB AWS의 noSQL 데이터서비스 Oracle이나 Mysql의 경우 데이터를 보관하는 형태인 스키마를 정의하고, 이 스키마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함 DynamoDB의 경우 스키마 없이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음 완전관리형 서비스로, 서버 관리에 신경쓰지 않아도 됨 API Gateway AWS의 api 관리 서비스 API란? 외부에서 기업의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 규격을 정해주는 것임 일종의 형식을 정해놓고, 이 형식대로 기업의 서비를 호출하면 기업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약속이라..

1. 인스턴스 시작 2. 이름, AMI, 인스턴스 유형 선택 3. 키 페어, 네트워크 설정 보안 그룹은 http, https, ssh 연결 허용 +스토리지 선택은 알아서 4. 생성 완료 5. 웹 서버 설치하기 - 연결 버튼 누르기 - 연결 방법 선택 sudo su yum install httpd -y service httpd start 6. 접속

1. VPC에 대해 기본으로 NACL 생성 확인 2. 각 서브넷(public/private)별로 NACL을 할당 -> NACL 하나 더 생성 3. NACL과 서브넷 연결 4.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각 NACL에는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규칙이 존재함 (public)인바운드 규칙 편집 규칙 번호와 포트 범위를 설정하고 변경 사항 저장 규칙번호: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포트 범위: process port (public)아웃바운드 규칙 편집 client의 경우 임시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포트를 허용해주어야 함
1. Amazon EC2 - 클라우드에서 쉽게 시작/종료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 instance: 서버 리소스 저장소 - instance store: 임시 스토리지 - EBS: 장기 스토리지로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영구 데이터 저장시 사용 - 하나의 EBS 볼륨은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인스턴스 : EBS = 1 : N) AMI(amazon machine image): 인스턴스가 시작할 때 필요한 정보 제공 2. Amazon EC2 Auto Scaling 변화하는 수요에 동적으로 대응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 리소스 그룹의 수요에 따라 인스턴스 수를 탄력적으로 조정 가능함 ex) 사용자 요청이 많아져 CPU Utilization이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인스턴스 수를 늘림 Auto Scaling..

1. 인터넷 게이트웨이 설정 2.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VPC 연결 처음 생성 후에는 Detached 상태임 해당 인터넷 게이트웨이 > 작업 > VPC에 연결 사용 가능한 VPC 선택 후 인터넷 게이트웨이 연결 Attached 확인 3. 라우팅 테이블 확인 기본 라우팅 테이블이 한 개 생성됨(예라고 표시됨), 그리고 vpc 아래 만든 두 개의 서브넷(public/private)가 해당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된 상태임 -> public과 private 별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싶음 -> 라우팅 테이블 생성 4. 라우팅 테이블 생성 라우팅 테이블 생성 확인, 기존의 라우팅 테이블 이름 변경(choideu-private-rtb), choideu-public-rtb에 서브넷 연결 편집 5. 라우팅 테이블과 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