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Network (59)
선릉역 1번 출구
DNS = Domain Name System의 약어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 DNS는 계층적인 네임 체계를 가짐 //DNS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 DNS 보안 1. DNS sinkhole 해커들이 도메인을 악용해 좀비 PC 들을 조종하기 위한 명령/제어 서버로 이용함 DNS 싱크홀: 주요 ISP와 협력을 통해 악성봇에 감염된 PC가 해커의 명령을 받기 위해 C&C 연결을 시도할 때 C&C 서버 대신 싱크홀 서버로 우회시ㅣ는 것 *사전 단계로 KISA에서 배포한 C&C 목록을 ISP등 DNS 싱크홀 적용기관의 DNS 서버에 업데이트하는 선행 작업이 必 2. DNSSEC 파밍: ISP의 캐시 DNS나 사용자 PC에 특정 도메인네임에 대해 위-변조된 IP주소가 설정되도..
공중 무선랜 - 물리적인 구성요소 유선랜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무선랜과 유선랜의 연결을 중계해주는 장치인 무선 AP 내장 또는 외장형 무선랜 카드와 무선랜 안테나를 포함한 무선 단말기 인증 서버(사용자 인증) - 기술적인 구성요소 32byte의 고유 식별자 SSID 인증 암호화: WEP, WPA, WPA2 연결 방식 BSS(basic service set) infrastructure AP 중계기를 통해 무선 LAN card 데이터 통신 ad-hoc peer to peer로 노트북을 무선 공유기로 만들고 노트북과 휴대폰을 연결하여 노트북의 네트워크를 휴대폰에서 사용 가능 ESS 하나의 DS에 여러개의 BSS가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 *DS(distribution system): AP가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 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데이터의 통신 경로상에서 정보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 아키텍쳐 솔루션 통신 가능한 경로를 구성 할 것인지? 경로를 만든다면 어떻게 보안 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 인증 / 무결성 / 암호화 인증: 내가 누구랑 통신하는지 알고 통신하는가?(신뢰하는 사람하고와의 통신) 무결성: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고 목적지로 전달됐는가? 암호화: 기밀성(중간에 누가 알아채는가?) - Internet / Intranet / DMZ 아키텍처/ VPN 기술 /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 전용망(private link을 사용) 구성 = ISP에게 비싼 금액을 지불해야함, (인증/무결성/암호화를 모두 보장받음) - 그냥 인터넷에서는 인증/무결성/암호화 보장 x -> 보안을 위한 추가적인 것들이 필요 전용망의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HTTP/0.9 - 초기 단계의 http 프로토콜로 버전 번호도 없고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짐 - 요청 메소드도 GET 뿐임 Request: 단일 라인으로 구성됨 GET /choideu.html Response: 파일 내용 자체로 응답 헤더 없이 html 파일만 전송 가능함 2. HTTP/1.0 - 브라우저와 서버에서 확장성있게 진화됨 - 버전 정보와 상태코드, 헤더 개념 도입 => 상태코드를 사용해서 브라우저 요청의 성공/실패를 파악할 수 있게됨 - html외 다른 메타데이터 전송을 허용(content-type) - One request = One response GET /choideu.html HTTP/1.0 User-Agent: ~ 200 OK Date: Server: Content-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