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Network (59)
선릉역 1번 출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3lbn/btrTVimOkJx/jRnihiabW7Ot19jooq6gW0/img.png)
성형 토폴로지 구성 맥 주소 테이블 확인(관리자 모드) PC0 -> Laptop0으로 Ping을 보내면 Switch는 스스로 학습해 MAC table을 만듦 HOW) 스위치는 연결된 노드들의 정보를 어떻게 학습했나? -> 스위치와 노드들은 ARP 프로토콜을 이용해 반복적으로 MAC 주소를 주고 받음 https://choideu.tistory.com/345 [Packet Tracer] 같은 네트워크 통신 1. PC 2대와 스위치 1대, 라우터 1대 준비 2. 케이블로 연결 3. ip와 gateway 설정하기 라우터의 CLI에서 no shutdown 명령어 입력 4. 각 장비의 (Arp | Mac | Routing table 확인) 돋보기를 누르고 각 장비를 누르면 choideu.tistory.com 에서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8nEZ/btrTUDcBlX1/9wDm4Veju96hOtqkF4j7Fk/img.png)
PC0(203.237.10.1/24) 1.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 - ping 203.237.10.100 - ping 203.237.10.101 - ping 203.237.10.254 모두 ping에 대해 icmp reply가 도착함 2. 다른 네트워크 통신 - ping 203.237.20.1 Router0이 PC0으로부터 받은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봐도 어느 길로 routing할 지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unreachable함 -> 라우팅 테이블에 라우팅 정보를 입력하면 됨 정적 라우팅 설정 ip route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상대 IP 주소|출력 인터페이스 결과창 *s: static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함 통신 테스트 외부 네트워크 주소로 ping을 날려도 응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Pys5/btrTRCZyv5V/CmXO3hlaiNcCjwcBBe53GK/img.png)
1. Router 설정 탭 용도 Physical 전원, 인터페이스 등의 상태 확인 및 물리적 요소(모듈)의 탈부착 Config 라우터 이름, 라우팅 프로토콜이나 인터페이스 등에 대한 확인 및 설정 GUI CLI IOS(라우터 운영체제) 명령어로 상태 확인 및 설정 CLI Attributes 기타 속성 *라우터끼리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와 PC 연결(Fast Ethernet)과는 달리 Serial Interface를 사용해야함 기본 설정은 FastEthernet만 지원하고 있음 2. 모듈 장착하기 라우터 전원 OFF HWIC-2T 모듈 장착 라우터 전원 ON 3. 라우터 CLI 전원을 킨 후 CLi > 초기 설정 NO 답변 > 부팅 완료 4. Config 확인 5. 하나의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노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ZVSV/btrTRCd5B3E/8DdUuTg1ZlKJV2tBCIVRuK/img.png)
DNS 서버를 PC와 바로 연결해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DNS 서버가 왜 필요한지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해당 구조를 예시로 사용 1. 여러 도메인명 DNS에 등록 2. PC와 Server의 IP 주소 설정 PC Server(DNS) IP 203.237.10.1 IP 203.237.10.200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게이트웨이 203.237.10.254 게이트웨이 203.237.10.254 DNS 203.237.10.200 DNS 203.237.10.200 3. nslookup으로 DNS 서버 질의 1. 질의가 잘된 경우 2. 질의는 잘 되었으나 DNS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도메인을 질의한 경우 4. 캠퍼스망에 DNS가 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cI2z/btrTQRa7497/l7pwSQHSkUvRGiWKrKapA1/img.png)
1. 제어판 2. 제어판에서 연결 부분 선택 3. TCP/IP 프로토콜 상태 확인 4. Dynamic IP or Static IP 유동 IP/고정 IP를 선택할 수 있음 1. 왼쪽 버튼 클릭 2. 어댑터 옵션 변경 3. 오른쪽 버튼 누르고 설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RbdN/btrTR9u7ZH7/8czVlfhq4HZdBBeBoLWDgK/img.png)
Topology: LAN을 구성하는 컴퓨터(node)의 연결(link) 방식 1. 버스형 Ethernet이 대표적인 버스형임 *이더넷이란?(https://velog.io/@jeeho102/%EC%9D%B4%EB%8D%94%EB%84%B7%EC%9D%80-%EB%AD%98%EA%B9%8C%EC%9A%94) 장점 단점 -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음 - 노드 추가/삭제가 쉬움 - 비용이 적게 듬 - 문제가 발생한 노드 식별 어려움 - 전송량이 많을 경우 병목현상 발생 - 안전성이 낮음 - 백본 케이블이 고장나면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침 2. 링형 인접한 노드들이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이루는 구성 방식 데이터 패킷은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의 한 방향으로만 전송됨 장점 단점 - 노드 추가가 쉬움 -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