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Network (59)
선릉역 1번 출구
1 메인바 파일, 편집, 보기, 도구, 환경설정, 도움말 2 메인툴바 자주 사용되는 명령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 3 공통툴바 선택, 검사, 삭제, 크기 조절 등 작업공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툴들 4 논리적/물리적 작업공간 및 내비게이션바 논리적 작업공간과 물리적 작업공간을 토글 선택 5 작업공간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과 정보를 볼 수 있는 영역 6 장치 타입 선택박스 패킷트레이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장치의 종류와 연결 케이블 7 세부 장치 선택박스 '장치 타입 선택박스'에서 선택한 종류에 속한 세부 장치와 연결 케이블이 나열됨 8 선택 장치 설명박스 작업공간에 넣기 위해 선택한 장치 표시 9 사용자 생성 패킷 창 시뮬레이션 동안 사용자가 생성한 패킷 관리 10 실시간/시뮬레이션 바 실시간 모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VPN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Private Network를 이해해야 함 IPv4의 고갈 문제 -> Private Network 탄생 IPv4의 일부 대역을 Private IP로 지정하여 가정, 기업, 기관 등의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사용하도록 함 Private Network IPv4의 고갈 문제 해결 사설 IP를 사용해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인터넷과 내부 인터넷의 분리 외부 인터넷의 접근을 막음(필요시에 NAT를 활용해 공인 IP로 탈바꿈) 이런 이유로 다양한 장소에 사설망이 구축됨 -> 멀리 떨어진 다른 사설망과 사설 IP를 통한 연결의 필요성이 증가함 -> 전용 회선이 등장함 ex) 사설망 안에 위치하는 server 접근 정책이 사설망안에서의 접속은 허용하고 외부 IP의 접속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 왜 VPN을 사용하는가?, 어떤 문제가 있는가? 1. 공유기를 통한 가상 사설망의 이해 외부 커피숍(10.0.10.0/24), 우리집 공유기(192.168.10.0/24) *0은 네트워크 주소이고 255는 브로드캐스팅 주소임! 외부 커피숍에서 집 공유기에서 작동 중인 VPN에 접속 내 노트북(외부 커피숍에 위치한)은 우리집 공유기의 IP 주소를 하나 할당 받음 ipconfig 명령어 실행 시 내 노트북은 10.0.10.2와 192.168.10.10이라는 2개의 ip를 할당받은 상태임 노트북에서 10.0.10.0/24 대역으로 라우팅 시에는 10.0.10.2의 주소로, 192.168.10.0/24 대역으로 라우팅 시에는 192.168.10.10의 주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