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Operating system (12)
선릉역 1번 출구
윈도우 NT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 제품군의 명칭 윈도우 NT 아키텍처 크게 유저모드와 커널모드로 나뉨 유저모드 - integral subsystems(필수 하위 시스템): DLL로 구현되어 있음 보안: 보안과 관련된 내용들이 존재 워크스테이션 서비스: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원격서버에 대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연결을 만들고 유지 서버 서비스: 파일, 인쇄 및 명명된 파이프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SMB: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166&id=452) - environment subsystems(환경 하위 시스템): win3..
가상 메모리의 기초 가상 메모리의 개요 1) 가상 메모리 시스템 가상 메모리란 크기가 다른 물리 메모리에서 일관되게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는 기술임 =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상관없이 프로세스에 커다란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 현대 메모리 관리의 가장 큰 특징은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프로세스가 올라갈 메모리의 위치를 신경 쓰지 않고 프로그래밍하도록 지원한다는 것임 논리 주소는 주소 공간에 비례하고, 가상 주소는 물리 메모리 공간이 아닌 가상의 주소 공간을 가짐 이론적으로 가상 메모리의 크기는 무한대이지만, 실제로 최대 크기는 컴퓨터 시스템이 가진 물리 메모리의 최대 크기로 한정됨 -> 가상 메모리가 가지는 최대 크기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가상 메모리는 물리 메모리의 내용 중 일부를 하드디스크의 일부 공..
물리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의 개요 *폰 노이만 구조의 컴퓨터에서는 메모리는 유일한 작업 공간이며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이 가능 메모리에는 사용자 프로세스와 운영체제 프로세스도 공존함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때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나? 메모리 관리 시스템(Memory management system)이 담당 1)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 프로세스 입장에서는 메모리를 독차지하려하고, 메모리 관리자 입자에서는 되도록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싶어하는 것 = 프로세스 입장에서의 편리함과 관리자 입장에서의 편리함이 충돌하는 것 2) Compiler vs interpreter compiler: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한 후 한꺼번에 실행. C언어, Java int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Topic computer structure and performance upgrade 컴퓨터의 기본 구성 필수 장치: CPU, main memory(=제1저장장치, 전력이 끊기면 데이터를 잃어버림 -> 제2저장장치에 데이터를 보관해야함) 주변 장치: 입/출력 장치, 저장장치(HDD, SSD) 제2저장장치 자성을 이용하는 장치: 카세트테이프,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레이저를 이용하는 장치: CD, bluray 메모리를 이용하는 장치: SD card, SSD(solid state disk) 메인보드 cpu와 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부품을 연결하는 판 Von neumann architecture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저장장치가 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하드와이어링 형태에서(하드웨어를 바꾸는) 하..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