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22)
선릉역 1번 출구

python 환경을 run을 이용해서 다운로드 + 실행 새로 생성한 py파일을 python 컨테이너 환경에 복사해줌 exec 명령어를 통해 실행중인 container에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음 ls -al 명령어를 통해 test.py가 잘 복사됐는지 확인 pip list를 통해 설치된 모듈 확인 가능 python 파일 실행
2. 네트워크 외부 인터넷 환경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네트워크 영역에서의 보안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가 가상화 기반으로 서비스 -> 사용자는 더 쉽고 빠르게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를 설정하고 적용영역의 범위도 늘리거나 줄이기 쉬움 2-1. 가상 사설 클라우드(VPC) 클라우드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는 가상의 개인 네트워크 다른 가상 사설 클라우드와 논리적으로 구분되어 있어 독립된 격리 네트워크망 구성이 가능 최초 클라우드 자원을 생성하기 전에, 가상 사설 클라우드를 생성하고 비즈니스 특성에 맞는 사설 IP 주소 범위를 설정해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함 2-2. 서브넷(subnet) VPC에서 IP 주소 범위를 설정해서 원하는 자원을 구성할 수 있는 작은 네트워크망 Region에서 AZ을 선택해 CIDR 표기..
클라우드 환경: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처럼 보안 장비나 보안 서비스를 적용해야 할 필수영역이 존재함 1. 공통 보안 서비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볼 수 없고, 어떤 위치에 존재하는 지 알 수 없으며 어떤 원리로 클라우드 자원이 생성되는지 알 수 없음 -> BlackBox와 유사함 CSP들은 비가시적인 클라우드 속성을 가시화해 클라우드 정보와 현황을 보여주는 클라우드 관리 포털을 제공함 1-1. 클라우드 관리 포털(CMP) 보안 클라우드 관리 포털을 통해 임의의 자원의 생성과 삭제 현황을 볼 수 있음(자원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관리)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접근할 수 있는 자원과 수행할 수 있는 권한들을 정책, 역할을 통해 제어함 A..

1. PC 2대와 스위치 1대, 라우터 1대 준비 2. 케이블로 연결 3. ip와 gateway 설정하기 라우터의 CLI에서 no shutdown 명령어 입력 4. 각 장비의 (Arp | Mac | Routing table 확인) 돋보기를 누르고 각 장비를 누르면 각 장비의 table을 확인할 수 있음 PC: arp table 스위치: MAC table, arp table 라우터: Routing table, arp table, NAT table 등 모든 table이 초기화된 상태임 5. PC0 -> PC1으로 ping Command prompt 클릭 후 ping 192.168.0.3 날리기 ICMP를 보내고 싶지만 ARP table에 192.168.0.3과 대응하는 MAC 주소가 없어, 목적지 IP 주소..

Docker는 프로세스 단위로 동작됨 1. 도커 프로세스 확인 sudo docker p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가능 나중에 실행한 nginx의 경우 172.17.0.3의 ip가 할당됨 -> 실행시킨 컨테이너의 프로세스 별로 IP가 다르게 할당됨 2. 도커 컨테이너 목록 확인 sudo docker ps -a sudo docker container ls -a 3. 도커 컨테이너 삭제 sudo docker rm 컨테이너 이름 | 컨테이너 ID 4. 도커 컨테이너 재시작 sudo docker restart 컨테이너 이름 | 컨테이너 ID 5. 리눅스 프로세스 정보 확인 sudo su - cd /proc/ ls 관리자로 로그인 후 process 디렉토리 이동하여 목록 확인 동작중인 프로세스가 폴더 별로 관리됨

1. 웹서버 nginx 다운받기 sudo docker pull nginx *nginx: Nginx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가벼움과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한다. 웹 서버, 리버스 프록시 및 메일 프록시 기능을 가짐 2. 도커 실행하기 sudo docker run -it --name nginx_web -d -p 8000:80 nginx:latest options -it: 터미널 입력을 위한 옵션 -> /bin/bash 설정 가능 /bin/bash를 입력해줘야 다음에 attach 명령시 다시 /bin/bash를 실행시킬 수 있음 아니면 exec를 사용해서 exec -it 이름 bash를 통해 접근 가능 -p: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연결함 -d: 백그라운드 모드(실행과정 프린트 안함) -name: 컨테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