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22)
선릉역 1번 출구

7 Application L7 스위치 6 Presentation 5 Session 4 Transport L4 스위치 3 Network 라우터 2 Datalink 브리지, 스위치 1 Physical 케이블, 허브, 리피터 Switch 스위치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을 계산하여, 해당포트르 1:1로 연결한다. - Switching (L2, L3, L4, L7로 어떤 Layer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결정됨) L2 Switch: 2 Layer 프로토콜인 이더넷 등에서 MAC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 L3 Switch: 3 Layer 프로토콜인 IP 등에서 IP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고 라우팅 기능을 포함함 L4 Switch: 4 Layer 프로토콜인 TCP,..

네트워크: 둘 이상의 호스트가 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과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총칭한 것 Host: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 Protocol: 올바른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위해 호스트 또는 다른 프로토콜 간에 약속한 규약 및 표준을 의미 이기종 시스템 간에 데이터가 전송될 때 관련되는 계층 실제 중간 노드는 스위치(MAC)과 라우터(IP)임 7계층 - 어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가상터미널이나 이메일 서비스, 파일 전송 서비스 등을 응용 계층에서 담당 *익스플로러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익스플로러 같은 프로그램들은 단지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도구임 이 계층에서는 헤더가 추가되지 않음! 6계층 - 표현 ..

Switch Jamming 스위치의 MAC Address Table의 버퍼를 오버플로우 시켜 스위치가 허브처럼 브로드캐스팅하게 하는 기법 -> 스위치 장비는 MAC 주소 테이블이 가득 차면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브로드 캐스트하는 특성이 있음 Fail Open 정책을 따르는 장비임 *Fail Open: 장애가 발생할 시 특정 요소를 허용하는 정책 Fail Close: 장애가 발생할 시 특정 요소를 차단하는 정책 브로드캐스팅되므로 공격자가 해당 패킷을 스니핑할 수 있는 환경이 됨 스위치의 특성 MAC 주소를 통해 해당 패킷이 어떤 목적지로 보내질지를 결정 해당 MAC 주소를 학습하는 방법 1. 해당 MAC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 -> 존재한다면 테이블에 등록된 포트로 패킷 전송 -..

RAM(메모리, 주 기억 장치) = 휘발성 저장 장치 vs 비휘발성 저장 장치(보조 기억 장치) RAM의 종류 DRAM(dynamic): 시간이 지나면 휘발됨 SRAM(static): 전력이 공급되는 중에는 사라지지 않음 SDRAM(synchronous dynamic): 동기식 DRAM 메모리의 주소 물리 주소: 메모리가 사용하는 하드웨어상의 주소 논리 주소: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주소 물리 주소 = 논리 주소 + MMU(memory management unit) *메모리 보호 기법으로 베이스 레지스터와 한계 레지스터가 쓰임 -> 논리 주소는 한계 레지스터보다 클 수 없음! 저장 장치 계층 구조(memory hierarchy) : CPU와 얼마나 가까운가를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클럭 - 컴퓨터 부품들은 '클럭 신호'에 맞춰 움직임 - CPU는 명령어 사이클에 맞춰 명령어를 실행함 클럭 신호가 빠름 -> 컴퓨터 부품들이 빠르게 움직임 -> CPU가 명령어 사이클을 더 빠르게 반복함 결론: 클럭 속도가 빠르면 일반적으로 CPU가 성능이 좋지만 속도만 높인다고해서 성능이 계속 좋아지지는 않음(발열 문제) 클럭 속도: 헤르츠(Hz) - 1초에 클럭이 몇 번 반복되는지를 나타냄 *속도가 일정한 것이 아니라 기본 클럭 속도(Base)와 최대 클럭 속도(Max)로 나뉨, 고성능을 요하는 순간에는 순간적으로 클럭 속도를 높임 +오버클럭킹: 최대 클럭 속도를 강제로 끌어 올리는 것 코어 and 멀티 코어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 = Core 과거의 CPU: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이 1개만 존재 ..

ALU: 계산을 담당하는 장치 INPUT: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operand)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받아 들임 OUTPUT: Integer Result를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Status=flag(register)값을 내보냄 *결과값을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이유는 메모리에 바로 저장하게 되면 cpu와 메모리 사이의 이동시간으로 느려지기 때문 flag의 종류 부호 플래그: 연산 결과가 음수인지 양수인지를 나타냄 제로 플래그: 연산 결과가 0인지 나타냄 캐리 플래그: 캐리가 발생했는지 나타냄 오버플로우 플래그: 오버플로우가 발생했는지 나타냄 인터럽트 플래그: 인터럽트가 가능한지 나타냄 슈퍼바이저 플래그: 커널 모드로 사용중인지, 사용자 모드로 실행 중인지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