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22)
선릉역 1번 출구
먼저 war파일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tomcat이 깔려있어야 함! 1. war파일을 /var/lib/tomcat9/webapps로 이동시킴 기존의 ROOT 디렉토리와 ROOT.war가 파일명이 같아서 mv 명령어를 사용해 ROOT 디렉토리의 이름을 바꿔줌 2. tomcat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tomcat9 명령어 실행 3. 파일이 생성됨 자동으로 war파일의 압축이 해제되어 ROOT가 됨
window에서 linux(ubuntu)로 파일 보내기 1. window 기능 보기 선택적 기능 클릭 2. OpenSSH 활성화 확인 3. CMD창 들어가기 4. 아래 명령어 작성 scp (window경로)파일 (linux계정)@서버주소:목적경로 명령어를 작성하면 linux계정의 password을 물어봄 -> password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내가 설정한 목적 경로로 옮겨짐 +RSA 에러 발생 시 해결 방법 https://choideu.tistory.com/284 가상 인프라 구축하기 - window에서 linux로 파일 보내기 error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error 해결하기 파일을 보내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뜸 해당..
1. 연동 커넥터 설치 sudo apt-get install libapache2-mod-jk 설치하면 /etc/apache2/mods-available경로에 jk.conf와 jk.load 파일이 생성됨 /etc/libapache2-mod-jk/workers.properties 파일도 수정이 필요함 tomcat8 -> tomcat9로 바꿔주면 됨 2. sudo vi /etc/apache2/mod-available/jk.conf 수정하기 좀 전의 경로가 JkWorkerFile로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기 3. sudo vi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수정하기 해당 박스부분과 같이 설정해줌 DocumentRoot는 그냥 놔둬도 상관 없음 4. sudo vi ..
1. 설정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2. tomcat 관련 파일 설치 *설치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 sudo apt search 패키지 이름 sudo apt-get install tomcat9 tomcat9-admin 3. tomcat 설치 확인 netstat -ntlp 4. IP주소:8080 5. 경로 /var/lib/tomcat9 /etc/tomcat9
OS입장에서 많은 파일을 관리할 때 파일 시스템이라는 구조를 사용함 파일 시스템: 사용자에게 하드디스크의 동작을 추상화 해주는 도구 구조: Meta Area | Data Area - Meta Area: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파일의 이름, 위치, 크기, 시간정보, 삭제유무 - Data Area: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모든 파일은 메타 영역에 의해 해당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기록된 데이터 자체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메타 영역의 접근만으로 해당 파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ex) 윈도우 탐색기를 통해 확인하는 파일의 정보도 메타 영역을 확인하여 알려주는 것 *메타 영역의 사용으로 데이터 영역의 공간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메타 영역의 사용은 더 많은 이득임 섹..
1. 설정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2. mariadb 설치 sudo apt-get install mariadb-server -y #mariadb-server 설치 시 mariadb-client는 자동으로 설치된다고 함 3. mariadb 설치 & 버전 확인 mariadb -V 4. netstat으로 동작중인지 확인 or sudo systemctl status mariadb mariadb는 3306 port를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