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22)
선릉역 1번 출구

1. 설치 전 설정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2. 아파치 설치 sudo apt-get install apache2 3. 아파치 설치 & 버전 확인 apache2 -v 4. 주소로 들어가기 5. 아파치 설정 파일 경로 /var/www/html(접속 시 웹페이지) /etc/apache2/(설정) 문서 root 경로가 /var/www/html 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함 6. apache2 구동 명령어 시작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재시작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종료 $ sudo service apache2 stop

1. 본인 이더넷 이름 확인 ens33이 이더넷 이름임 2.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 설정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33: dhcp4: true version: 2 으로 되어 있는 파일을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33: dhcp6: no addresses: [192.168.0.153/24] gateway4: 192.168.0.2 nameservers: addresses: [8.8.8.8,8.8.4.4] version: 2 로 다시 작성해줌 3. 설정 appl..

1. 사용할 언어 선택 2. update 진행 여부, continue without updating 클릭 3.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4. 네트워크 설정 manual 클릭 후 고정 ip 할당 5. proxy 설정 6. Mirror Address 설정(우분투 운영체제에서 패키지를 다운받을때는 미러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7. 디스크 파티션 설정 8. Done 클릭 9. 10. SSH 서버 설치 x가 check 표시임 11. 옵션들 12. Installing system 13. 설치 완료 update를 꼭 하지 않아도됨 14. 접속 완료

윈도우 레지스트리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 bit 버전과 윈도우 모바일 운영 체제의 설정과 선택항목을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 모든 하드웨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대부분의 비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사용자 PC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와 설정이 들어있음 window + R > regedit을 통해 레지스트리 편집 가능 루트 키 마스터 키: 하이브 파일에서 직접 읽어 들여 구성되는 키 HKLM: 설치된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정보 HKU: user 정보, 만약 시스템의 사용자가 한 명이라면 HKCU 설정 내용과 일치함 Derived key: 마스터 키를 토대로 재구성 되는 키 HKCR: 파일의 각 확장자에 대한 정보와 프로그램 간 연결 정보 HKCU: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있는 사용..

윈도우 NT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 제품군의 명칭 윈도우 NT 아키텍처 크게 유저모드와 커널모드로 나뉨 유저모드 - integral subsystems(필수 하위 시스템): DLL로 구현되어 있음 보안: 보안과 관련된 내용들이 존재 워크스테이션 서비스: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원격서버에 대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연결을 만들고 유지 서버 서비스: 파일, 인쇄 및 명명된 파이프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SMB: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166&id=452) - environment subsystems(환경 하위 시스템): win3..

docker - application packaging docker_container(s/w unit) Docker가 VM에 비해서 light함 Docker execute order 1. building container - dockerfile 생성(꼭 필요한 파일, 필요한 의존 파일, 환경 변수 설정, 어떤 식으로 작동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 - Image 생성(dockerfile을 통해 만들어지며, 한번 생성 시 불변의 상태 유지함) - Container 생성(Image를 통해 Application 구동함) * Dockerfile --(Build)--> Image --(PUSH)--> Container Registry --(PULL)--> Server * Container Registry는 pub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