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22)
선릉역 1번 출구
VPC(virtual private cloud):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음 - 리전 단위 Subnet: VPC를 쪼개는 것 - 하나의 VPC에 더 많은 네트워크 망을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 - 하나의 subnet은 하나의 가용 영역안에 위치함 - AWS 사용 가능 IP숫자는 5개를 제외하고 계산함 ex) 10.0.0.0/24 10.0.0.0: 네트워크 어드레스 10.0.0.1: VPC router 10.0.0.2: DNS server 10.0.0.3: 미래에 사용을 위해 남겨 둠 10.0.0.255: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but, 브로드캐스드 지원 x) public subnet 외부와 차단되어 있지 않은 subent IGW를 통해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음..
AWS Elastic Beanstalk 웹 어플리케이션/웹 서비스를 배포하고, 확장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Q. AWS elastic beanstalk은 왜 써야 할까? A1. 코드의 배포, 프로비저닝, 관리가 복잡함 A2. 서버, DB, LB, FW과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는데 전문성과 시간이 필요함 A3. 어플리케이션의 Scale out/in을 어떤 식으로 자동화해야할지 고민 -> 코드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나옴 방법에 따른 공수 On-premise 사용: 100%(공수) AWS EC2 수동 구성: 50%(공수) AWS Elastic Beanstalk: AWS Elastic Beanstalk은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는 솔루션임 ..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 over tls SSL 인증서 : 서버의 공개키와 비밀키를 생성 : 서버는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 CA(인증기관)에 서버의 공개키와 서버의 각종 정보를 보냄 : 인증기관은 서버로부터 받은 정보를 담아 SSL 인증서를 발급함 : 인증서를 암호화하기 위해 인증기관의 공개키와 비밀키를 생성하고, 비밀키를 이용해 SSL 인증서를 암호화함 Handshake 과정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연결할 때, 서로 악수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 신뢰할 수 있는 서버인가? 통신할 때 사용할 암호화 방식 교환 -> 궁극적인 목표(데이터의 암호화 알고리즘 결정, 주고 받을 암호화를 위해 동일한 대칭키를 얻음) 1. client hell..
1. GET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줄 때 사용 어떤 값이나 내용, 상태 등을 바꾸지 않을 때 사용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 데이터를 read하거나 검색할 때 사용함 불필요한 요청을 제한하기 위해 캐시될 수 있음 요청이 브라우저 기록에 남음 북마크에 추가 가능 요청 데이터 길이에 대한 제한이 있음 http reqeust에 body가 없음 2. POST 리소스를 생성/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 전송해야 될 데이터를 HTTP 메시지의 Body에 담아서 전송함 Body는 길이의 제한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대용량 데이터 전송 가능) 캐시되지 않고, 브라우저 기록에 남아 있지 않음 북마크에 추가 불가능 POST 요청 중 자원 생성..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