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222)
선릉역 1번 출구

1. MariaDB 설치하기 설정은 모두 default 값으로 설정 *복붙 후 shift + insert 시 복붙됨 1. 데이터베이스 사용 use 데이터베이스 명; 2.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명; 3. 계정 생성 확인 select host, user from user; 4. 계정 생성 CREATE USER 'user'@'host' IDENTIFIED BY 'password'; *%는 모든 곳에 적용한다는 의미임, ( '%' 로 주면 모든 외부 IP에서 접속 할 수 있음) 5. 나가기 exit; 6. 테이블 확인 show tables; 7.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users ( id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user_id v..
블록킹과 논블록킹 그리고 동기와 비동기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동기와 비동기: 프로세스의 수행 순서 보장에 대한 매커니즘 블록킹과 논블록킹: 프로세스의 유휴 상태에 대한 개념 제어권: 자신의 코드를 실행할 권리로 제어권을 가진 함수는 자신의 코드를 끝까지 실행한 후, 자신을 호출한 함수에게 돌려줌 결과값을 기다림: A 함수에서 B 함수를 호출했을 때, A 함수가 B 함수의 결과값을 기다리느냐의 여부를 의미 동기와 비동기 - 처리해야 할 작업들을 어떤 흐름으로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관점으로, 호출되는 함수의 작업 완료 여부를 신경쓰느냐에 따라 함수 실행/리턴 순차적인 흐름을 따르느냐와 안따르느냐의 관심사임 동기: 함수 A가 함수 B를 호출했을 때, 함수 B의 리턴값을 계속 확인하면서 신경쓰는 것 비동기: ..

Node.js(https://nodejs.org/ko/download/)에서 다운로드 진행 node.js 설치 후 node 명령어를 통해 index.js 출력이 가능 npm이란?(https://www.npmjs.com/) -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필요한 코드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음 - npm install 모듈이름:을 통해 터미널에서 모듈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음 figlet이라는 모듈을 다운받아 사용해볼 예정 다운로드 방법과 사용 방법이 나와있음 express 설치 후 node.js 실행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get('/', function (req, res) { res.send('H..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요청(connect)하고, 서버가 수락(accept)하면 양쪽의 Socket 객체로부터 각각 입력 스트림(InputStream)과 출력 스트림(OutputStream)을 얻을 수 있음 데이터 송신: 데이터를 byte[] 배열로 생성하고, 이것을 매개값으로 OutputStream의 wirte() 메소드 호출 데이터 수신: 데이터를 저장할 byte[] 배열 생성 후, 이것을 매개값으로 InputStream의 read() 메소드 호출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 import java.io.OutputStream; import java.net.InetSocketAddress; import java.net.ServerSoc..
TCP =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Server - Client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음) *연결: 3 way hand shake SYN(a) - SYN(b)/ACK(a+1) - ACK(b+1) TCP Server의 역할 클라이언트가 연결 요청을 해오면 연결을 수락하는 것 Java의 java.net.ServerSocket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것 Java의 java.net.Socke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InetSocketAddress;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public class Serve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
Cloud Native Application: 클라우드의 이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방식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Cloud Native Application으로 개발하는 것이 좋은가? -> 그렇지 않음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특징 1. DevOps 2. CI/CD 3. 컨테이너 기반 4. Microservice Microservice(https://www.redhat.com/ko/topics/microservices/what-are-microservices) 애플리케이션을 이루는 서비스들을 기능 단위로 쪼개서 구축하는 것을 말함 서비스끼리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구속받지 않는 API를 통해 통신 각 서비스는 각각 자체 DB를 가짐 모놀리식과의 비교 모놀리식은 전체 애플리케이..